kkamagi's story

IT, 정보보안, 포렌식, 일상 공유

Network

DSU / CSU / 라우터 개념

까마기 2014. 9. 23. 04:46
반응형

DSU/CSU/Router 개념



* DSU ( Digital Service Unit )

 

보통 PC에서 많이 사용하는 MODEM ( Modulator DeModulator )은 아날로그 회선에서 사용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거나 그 역의 기능을 합니다. DSU는 디지털용 회선에 사용하는 장비인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혼동될 수도 있는 디지털 데이터와 디지털 신호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데이터 : PC 등에서 보통 사용하는 이진 데이터 0 0 1 0 1 1 0 1 0 0 0 1 0 1 0

- 디지털 신호 : 전송로로 전송되기 위해 변환을 거친 신호, 흔히 pc 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0" , "1"이 실제로 물리적인 전용회선으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로로 전송 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예를 들면 "1"은 5 volt 를 가진 파형, "0"은 0 volt 를 가진 파형 )으로 변환됩니다. 그 변환을 하는 것이 종단장치의 역할입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기계까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파형을 사용합니다. 이 미세한 디지털 신호를 멀리 전송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송 장비가 필요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거리가 멀면 미세한 디지털 파형은 전송 되는 도중에 왜곡현상이 발생되어 상대방이 인식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부호화(Encoding) 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또한 부호화되어 들어오는 정보를 원래의 신호인 디지털로 복호화(Decondig)하는 것이 디지털 전송장비의 역할입니다. 속도 등이 버젼업 된 기기들이 HSM, FDSU,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이구요.

 

--> 디지털 신호를 충실하게 처리, 디지털 전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주요장비입니다.

 

 

* CSU ( Channel Service )

 우선 channel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1 channel은 64kbps 의 전송속도를 가지는데 흔히 많이 사용하는 56k/64k는 1 channel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128k는 64 * 2 = 128 이므로 2 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256k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이 여러개입니다. 그래서 속도가 128k인가 256k 인가 하는 것은 2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4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전송에 있어서, 각각의 단채널들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먹스" 라 불리우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거번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됩니다.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 channel 이 가능하고      E1은 30 channel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 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 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겅됩니다.

 CSU는 T1, E1 라인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을 옵션에 따라 분류하여 512k 등의 고속급 전송을 합니다.

 

=> 분배기능이 주목적인 커다란 용량의 스위칭 허브라고 이해하자.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입니다. 예를 들어 512k인 경우는 T1, E1 단위로 받은 트렁크라인 중에서 8개의 채널을 분할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좌우측의 채널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고속급 채널들은 먹스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됩니다.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 합니다.

 

- CSU는 T1, E1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옵션에 따라 512k등 고속전송을 한다. 그리고 여러개의 고속 채널들은 Mux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되는데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한다.

 

 

TD 

 송신 데이터

RD

 수신 데이터

RTS 

 Request To Send의 약자로 DTE가 DCE에 데이터 송신 요구를 표시

 SYNC

 전송로상의 반송파를 정상적으로 감시, 만약 SYNC가 깜빡 거리면 전송로상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RED

 SYNC가 점멸하거나 꺼져 있는 경우에 빨간색 램프가 들어온다. 테스트 스위치(LOOPBACK SWITCH)

 CHANNEL LOCAL

 일반적으로 DSU의 자체 테스트와 같은 의미로 자국으로 자체 루프하여 CSU 장비 자체를 테스트하는 스위치

 CHANNEL REMOTE

 원격 루프 테스트로 장비와 대응되는 장비까지 루프 테스트하는 것으로 전송로 구간을 전부 테스트 할 수 있다.

 

 

* CSU LED 표시 설명, 표시램프의 의미 [CSU ONS-150]

 

- 라우터 ( Router )

랜을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패킷)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인터넷을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이다.

 

단순히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결정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장점은 통신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논리에 따라 통신 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방법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초기 환경설정이 어렵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어려우며,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능이 복잡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 경로설정 및 보정기능. 트래픽 예방 및 분산이 주기능.

=> 요즈음은 CSU에 DSU 기능이 포함한 제품이 나오거나, 라우터에 CSU 기능이 통합된 제품도 있다.

 

디지털 회선망 즉 일반 랜의 일반적 망 구성도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1. 집중국(MOU)-----DSU-----------CSU------------------ROUTER---컴퓨터 등 단말장치(저속)

 

2. 집중국(MOU)-----HDSL------4 wire 실선-HDSL----CSU.ROUTER----컴퓨터 등 단말장치(고속,원거리 시)

( 2B1Q 실선)

 

 

 

* 디지털 모뎀 (Digital Modem)

DSU : 56kbps~64kbps속도의 전용회선에서 사용

HSM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미만일 때 사용

CSU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이상일 때 사용

 

전용선 혹은 WAN(wide area network) 회선을 라우터(router)와 같은 사설망의 장비에 연결하는 종단 자비.

 

CSU/DSU 모뎀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모뎀은 아니므로 아날로그와 디지털 간의 변환(변조와 복조)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CSU/DSU는 LAN(local area network)의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frame)을 wan 에 적합한 디지탈 데이터 프레임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LAN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차단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장치인데, 종종 라우터와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CSU는 회선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SU는 회선 제어를 수행하며, LAN의 RS-232C, RS-449, V.35 프레임과 T-1선상의 TDM(time-division multiplex) DSX 프레임 사이의 변환을 행한다. DSU는 또한 타이밍 에러와 신호 재생을 수행한다. DSU는 DTE(Data Terminal Equipment)로서 컴퓨터와 CSU간의 모뎀과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56k, T1 및 T3 각 회선의 CSU/DSU 의 경우, 24개의 서로 다른 채널(64k X 24=1.54MB)상에 64k chunk(time slot)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HSM

점차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해 지면서, 56k 이상의 전용회선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용으로 나온 것이 HSM 이다. 전용회선도 56k 한 채널이 아니고, 다수의 채널을 모은것을 사용한다. 한 채널이 아니고 여러 채널로 이루어져 구성된 만큼 데이터가 한번에 지나갈 수 있느 폭이 넓어진 것이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HSM 장비는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라우터 등 다양한 동기식 데이터를 전송 장치들의 데이터를 64k~768k로 통신 가능하도록 해주는 고속 근거리 모뎀이다. 운용상 한계특성으로 메뉴얼 내용과는 달리 768k는 링크되기가 어렵고 512k도 전화국과의 거리가 상당히 근거리가 아니고서는 구성이 어렵고 개통되더라도 loss가 생긴다. 이 고속모뎀은 속도에 따라서 제한 거리가 달라지는데 128k 속도에서는 보통 실선인 경우 2.7Km의 거리까지 가능하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밉스 구성  (0) 2014.10.27
Samba, SMB, CIFS 정의  (0) 2014.09.28
IP 주소 형식 예제  (0) 2014.09.23
UDP Header ( UDP헤더)  (0) 2014.09.22
TCP 프로토콜  (0) 201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