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AC time 확인
MAC time 정의
M : Modification time(수정시간)
A : Access time(접근시간)
C : metadata change time(속성 변경 시간, 권한 변경)
이라고 하며 각각 M-time, A-time, C-time이라고도 함.
- 리눅스의 경우 stat 명령어로 특정 파일에 대한 MAC time을 한번에 확인이 가능하며, ls 명령어의 옵션에 따라 각각 M-time, A-time, C-time 별로 확인이 가능.
# stat [파일명]
해당 엑셀 파일을 오픈하여 수정하면 해당 파일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변경하고 데이터의 사이즈도 변경되었기 때문에 MAC time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C-time의 경우 OS 별로 다르며, Windows의 경우 Creation time(생성 시간)으로 표시.
파일 변경 날짜 기준으로 파일 검색하기 (수정/변경이 이루어진 날짜)
* 1일 내 변경된 파일 검색
# find / -ctime -1 –type f
chown로 파일 소유 권한 변경 시 Ctime 변경 확인
mv 명령어로 파일명 변경 시 Ctime 변경 확인
※ vi를 이용해 파일을 열고(Access) 파일 내용을 추가하면 (Modify, Change) MAC time이 모두 변경됨.
find / -mtime -1 –type f
find / -atime -a -type f
find ./ -newer start –a ! –newer end
touch –t 2018102200 start
touch –t 2018102700 end
참고 URL : sungpil94.tistory.com/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