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time 정의 M : Modification time(수정시간) A : Access time(접근시간) C : metadata change time(속성 변경 시간, 권한 변경) 이라고 하며 각각 M-time, A-time, C-time이라고도 함. - 리눅스의 경우 stat 명령어로 특정 파일에 대한 MAC time을 한번에 확인이 가능하며, ls 명령어의 옵션에 따라 각각 M-time, A-time, C-time 별로 확인이 가능. # stat [파일명] 해당 엑셀 파일을 오픈하여 수정하면 해당 파일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변경하고 데이터의 사이즈도 변경되었기 때문에 MAC time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C-time의 경우 OS 별로 다르며, Windows의 경우 Creation ..